투자위원회 운영
SK네트웍스는 신규투자 및 매각, 주요한 지배구조 변경에 대한 전략 적합성, 집행의 합목적성 및 적정성, 투자 경제성, Risk 등을 검토, 심의하고 의사 결정하기 위해 ‘투자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합니다.

투자위원회 역할 및 구성
투자위원회는 경영 환경, 재무, 법무, ESG 등에 대하여 사전 검토된 투자 시안을 바탕으로 협의 및 토론을 진행하고 최종 의사 결정을 합니다.
투자실무협의체는 투자 사안에 대해 Risk 점검 중심의 사전 검토를 주관하고 투자실무협의체에서 검토된 의견서는 투자위원회에 제시됩니다.
상정위원회는 투자실무협의체 이전에 안건의 투자위원회 상정 여부를 사전 검토하며1), 견제 전담 조직(Red Team)은 투자위원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해 발의부서와 별도로 Risk 및 투자 타당성을 분석∙검토하는 안건별 임시 조직2)으로서, 이사회 부의 대상 투자 건에 한하여 Worst Case Projection 제시 등 검토 결과물을 투자위원회와 이사회에 별도로 제출합니다3)
1) 내부 구성원은 투자실무협의체와 동일
2) 경영지원본부장(CFO) 산하 Virtual TF로 운영, RM실장 실무 총괄 및 투자실무협의체 구성팀의 팀원들로 구성
3) 기존 투자 금액 변경의 건, 기존 사업의 확장에 따른 투자는 검토 대상에서 제외하되, 예외적으로 경영진의 결정 및 상정위원회 의결로 대상을 추가할 수 있음.
- 위원 : 대표이사, 사업총괄사장, AI본부장, 경영지원본부장, 기획재무실장, RM실장, 지속경영실장
- 간사 : AI Portfolio Innovation 실장
- 위원 : Global Investment Group팀장, 전략팀장, 재무팀장, 회계팀장, 세무팀장, 법무팀장, ESG경영팀장, RM파트장
- 구매성 투자의 경우, 구매/자산관리팀장 포함
투자 프로세스
- 발의부서
- 상정위원회 실패시 보완사항으로 발의부서 단계로 이동 조건 충족 시, 필요 시 견제 전담 조직을 총해 투자위원회 or 내부투자위원회 단계로 이동
- 투자실무협의체
- 투자위원회 or 내부투자위원회
- 결과 통보 조건 충족 시 이사회 결의 단계로 이동
- 이사회 결의 조건 충족 시 주주총회 단계로 이동
- 주주총회
- ※ 의결기준 : 전략적 방향성, R&C 확보방안, Valuation, Milestone, 주요 issue 및 Contingency Plan, ESG/SV, Exit plan 기타 등 ※ 투자위원회 통과 기준 : 전체 위원의 2/3 이상 참석 위원의 2/3 이상 찬성 필요
* 이사회 승인 가결을 필요로 하는 투자 대상일 경우, 전략·ESG경영위원회를 통한 사전 심의 절차 진행 후 이사회의 최종 검토를 거쳐 의결합니다.
SK네트웍스는 자회사와 손자회사를 상장여부, 보유지분 비중, 성장 단계 등을 고려하여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ESG 관리 방향성 및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각 사의 ESG 지표별 단기/중기 과제 정의 및 실행을 통해 단계적으로 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예정입니다.
-
상장사/비상장사
상장사는 관리지표를 모회사와 유사하게 광범위하게 선정하여, 다양한 ESG 항목에 대해 수준 제고
-
보유 지분 비중(80% 이상)
비상장사 중 보유지분 80% 이상인 경우, 상장사와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
-
성장 단계 (Spin-off 기간 연계)
신생 자회사(Spin-off 2년 이하)의 경우, 최소한의 필수 ESG 항목을 선정하여 우선 관리하고 산업 특성/성장 수준을 고려하여 관리 범위 단계적 강화
-
자회사/손자회사
자회사의 ESG 방향 및 목표 수준에 Align하여 자회사 자체적으로 손자회사의 ESG 관리
상장사 및 비상장 자회사(보유지분 80% 이상 & 성장 단계)부터 현황 점검 및 중/단기 과제 수행,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ESG 수준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는 2026년까지 모든 자회사/손자회사가 Global 업계 Top-tier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SK네트웍스는 실행력 강화를 위하여, SV밋업(meet up)에 전 사업부·자회사의 임원/팀장/실무자가 모여 각 사업별 ESG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논의하며 상호 학습하고 있습니다.
Roadmap
- 자/손회사 ESG 관리정책 수립 (2022년)
- 주요 자회사 ESG 현황 점검 및 중단기 과제 수립, 단기 과제 실행
- 주요 자회사 정기적 ESG 수준 점검 및 중기 과제 실행을 통해 SK네트웍스와 동일한 수준의 ESG 관리 성과 달성(2025년)
- 자/손회사 그룹별 ESG 수준에 따른 중/단/장기 과제 수행
- 모든 자/손회사 Global Top-tier 수준 도달(현재 7개사 기준)
- 자/손회사 ESG 관리정책(핵심지표) 고도화(e.g. 사별 자체 지표 선정 등)
ESG 관리 실행 및 성과
- 2020년부터 전 사업부·자회사가 참여하는 SV밋업 시행을 통해 자/손회사 ESG 현황 파악 및 관리
- SK네트웍스 및 자/손회사 총 8개사 Net Zero 2040 선언(2021년), EV100 가입(2021년), SBTi 가입(2022년 9월) 및 목표 승인 (2023년 8월)
- SK네트웍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내 SK매직, SK네트웍스서비스 등 자회사 주요 ESG 성과 공시
- 자회사별 단계적 ESG 성과 점검 및 공시 진행 (2022년~)